이더리움 gas 개념에 대해 고민하던 중 유용한 글이 있어 요약함
https://ethereum.stackexchange.com/questions/3/what-is-meant-by-the-term-gas

Gas란?

  • Gas는 이더리움은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단위"
  • 이더리움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모든 작업은 실행을 위해 필요한 Gas량이 정해져 있음
  • 이더리움 위에서 ETH(이더)를 이체하거나 SmartContract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Gas 요금을 지불해야 함

Gas는 토큰이 아니다.

  • 예를 들어 1000 Gas를 구매하거나 소유할 수 없음
  • Gas는 EVM 소스코드 안에 얼마나 많은 작업을 처리했는지 나타내는 카운터로 존재

왜 ETH를 바로 쓰지 않고 Gas를 도입했나?

  • ETH(화폐)의 가치는 시장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항상 변화함
  • 반면 어떤 작업을 위해 필요한 컴퓨팅 자원(CPU, 메모리, 스토리지)의 양은 정해져 있음 (변화하지 않음)
  • 그래서 이더리움 개발팀은 컴퓨팅 자원량의 단위(Gas)와 화폐의 단위(ETH)를 분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했음


Posted by ingeeC
,

이더리움 FAQ

  • "A가 B에게 투자한 조건 아래서 B가 A에게 일정 기간마다 이자를 지급하는 Smart Contract"를 만들려고 한다. "일정 기간마다" 트랜잭션을 일으켜서 Smart Contract를 실행시키는 주체는 누구인가 (블록체인이 자동 처리할 수 있는가)?

    • Smart Contract는 트랜잭션에 의해서만 호출됨
    • 일정 시간마다 B가 트랜잭션을 일으켜야 함
    • "일정 기간마다 자동으로 트랜잭션을 일으키는 일"은 이더리움 블록체인만으로는 불가능. 블록체인 밖에 자동화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함


  • 이더리움 지갑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잔액을 블록체인이 아닌 별도의 장소에 따로 관리하나?
    • 계정의 잔고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저장/관리
    •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계정별 잔고 데이터를 유지/관리함 (비트코인처럼 UTXO를 추적하지 않음)


  • Smart Contract에 ether를 송금할 수 있는가?
    • Smart Contract도 이더리움 계좌의 한 종류
    • Smart Contract로 ehter를 송금할 수 있다


  • Smart Contract 실행시 gas limit를 낮게 설정해도 Smart Contract가 실행되는가?
    • gas limit를 Smart Contract가 필요로 하는 최소 gas limit 보다 낮게 설정하면 실행/채굴되지 않음
    • 채굴자에 의해 선택/실행되더라도 중간에 중단되며 트랜잭션은 취소되고 gas 수수료는 차감됨


  • Smart Contract 실행시 gas price를 낮게 설정해도 Smart Contract가 실행되는가?
    • Smart Contract의 실행을 보장하지 못함 (채굴업자가 선택하지 않음)
    • 하지만, 채굴자에 의해 선택/실행된다면 낮은 가격을 지불함


  • Smart Contract 실행을 위해 ehter를 직접 쓰지 않고 gas 개념을 도입한 이유?
    • gas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자원 (연산, 스토리지) 사용에 대한 비용
    • 지불 가치 측면에서, ether의 가치는 시장에 의해 결정되며 항상 유동적
    • 자원 가치 측면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연산 능력은 항상 유동적 (노드가 추가되기도 하고, 삭제되기도 함). 이에 따라 연산 비용도 항상 유동적
    • Smart Contract 처리 시점의 적정 비용을 공정하게 산정하기 위해 gas 개념을 도입


  • 이더리움의 TPS가 비트코인보다 높은 이유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처리 속도가 비트코인보다 빠른 이유)?
    • 해시 알고리즘이 다름 (ETHash)
    • 해시 난이도가 다름


Posted by ingeeC
,

Hyperledger <프레임워크 프로젝트> 상태

출처: https://hyperledger.org/


Hyperledger Sawtooth

개요
  분산 장부를 구축/설치/운영하기 위한 모듈러 방식의 플랫폼
  PoET (Proof of Elapsed Time) 합의 알고리즘 사용
    많은 수의 검증 노드를 사용해도 자원 소모를 줄일 수 있다
  Python 언어 사용
프로젝트 상태
  Active
코드 상태
  https://github.com/hyperledger/sawtooth-core
  5,801 commits
  4.1 MB
  릴리즈
    total 25 release
    2017-05-10, v0.8.2 첫 릴리즈
    이후 1~2주마다 릴리즈
    2018-01-26 현재 v1.1.0 이 최신 (2018-01-12)
소개 동영상 요약
  "신용할 수 없는 세상에서 물리적 asset을 추적하는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IoT 센서 연동
  자산의 이동과 속성의 변화를 추적
  금융, IoT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Hyperledger IROHA

개요
  비즈니스용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분산 장부가 필요한 인프라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
  블록체인 플랫폼 구현체
  Sumeragi 합의 알고리즘 사용
  일본계 회사에서 시작 (Soramitsu, Hitachi, NTT Data, Colu)
  C++ 언어 사용
프로젝트 상태
  Active
코드 상태
  https://github.com/hyperledger/iroha
  4,890 commits
  8.3 MB
  릴리즈
    total 5 release
    2017-05-22 v0.75 첫 릴리즈
    이후 2~3달에 1번 릴리즈
    현재 v1.0 alpah 가 최신 (2017-12-28)


Hyperledger Fabric

개요
  블록체인 프레임워크 구현체
  모듈러 방식으로 플러그-앤-플레이를 지원하는 플랫폼
  합의 알고리즘, 멤버쉽 서비스 등을 컴포넌트 형태로 구현/교체할 수 있음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을 위해 컨테이너 기술 활용
    chaincode
  Go 언어 사용
프로젝트 상태
  Active
코드 상태
  https://github.com/hyperledger/fabric
  4,258 commits
  9.5 MB
  릴리즈
    total 14 release
    2016-09-17 v0.6.0 첫 릴리즈
    이후 1달에 1번 릴리즈
    현재 v1.0.5 가 최신 (2017-12-07)
소개 동영상 요약
  Moduler, Scalable, Secure 솔루션 지향
  private channel (데이터 비공개 채널) 제공


Hyperledger Burrow

개요
  프라이빗 블록체인 솔루션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 실행
  PoS Tendermint 합의 엔진 사용
    transaction finality 제공
    high transaction throughput 제공
  Go 언어 사용
프로젝트 상태
  Incubation
코드 상태
  https://github.com/hyperledger/burrow
  1,112 commits
  389 KB
  릴리즈
    total 12 release
    2015-08-27 첫 릴리즈
    프로젝트 초반 활동 미미, 2016년 10월 이후 2달에 한번 릴리즈
    현재 v0.17.0 이 최신 (2017-09-05)

(이상)


Posted by ingeeC
,

블록체인 비교

Dev 2018. 2. 7. 22:34

블록체인 비교


비트코인 블록체인
Bitcoin Blockchain
이더리움 블록체인
Ethereum Blockchain
하이퍼레져 블록체인
Hyperledger Blockchain
운영형태
(참여자격)
퍼블릭 블록체인
* 누구나 참여가능
* 참여동기: 코인획득
퍼블릭 블록체인
* 누구나 참여가능
* 참여동기: 코인획득
프라이빗 블록체인
* 지정된 서버만 참여
* 참여동기: 업무수행
데이터 모델
블록체인 블록체인 블록체인 + State DB
통신 모델 pure p2p
* 모든 node가 동등
pure p2p
* 모든 node가 동등
hybrid p2p
* index 서버 사용
* node별 역할이 다름
합의 알고리즘
PoW PoW
(PoS 전환 예고)
PBFT
Smart Contract
No
Yes Yes
Scalability * 높은 node 확장성
* 낮은 성능 확장성
* 높은 node 확장성
* 낮은 성능 확장성
* 낮은 node 확장성
* 높은 성능 확장성
Posted by ingeeC
,

블록체인 요약

Dev 2018. 1. 3. 16:52

블록체인 요약

기초개념
    블록체인은
        모두에게 공유/공개된, 변조 불가능한 거래장부/DB
    비트코인 블록체인 현황
        10분에 1블록 생성
        1초에 최대 7건 거래
            하루 최대 60만건
            한국 중견 은행 1곳의 처리 능력과 비슷
            https://blockchain.info
        2009년 1월 최초 블록 생성이후 장애 없이 운영중

usecase
    국제송금서비스
        송금절차 간소화
        낮은 수수료
        투명한 처리과정
    클라우드펀딩
        스마트계약 이용
        중개인 개입 없이 개인과 개인을 직접 연결
    저작권, 소유권 증명
        중앙기관의 개입 없이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누구 소유인지 관리

블록체인 핵심기술
    본인인증
    부인방지
    이력공유
        모든 참여자가 거래이력(블록체인)을 공유
        제삼자 기관이 담당하던 일을 모든 참여자가 담당

블록체인 비교
    비트코인 코어
        Bitcoin Foundation 개발
        데이터 모델
            블록체인
        P2P 통신
            pure p2p
                별도의 index 서버 없음
            비구조적 오버레이
                모든 node의 역할이 동등
        합의 알고리즘
            PoW
                작업증명을 통해 합의
                    가장 빠르게 생성된 작업결과를 승인
                    가장 긴 블록체인을 채택
                수천개의 노드 수용 가능


    이더리움
        Ehtereum Foundation 개발
        데이터 모델
            블록체인
        P2P 통신
            pure p2p
            비구조적 오버레이
        합의 알고리즘
            PoS
                PoW와 비슷, 지분이 많은 노드의 작업증명 난이도를 낮춤
                    신속성
                    전체 노드의 계산 부하 감소
                수천개의 노드 수용 가능


    Hyperledger Fabric
        Linux Foundation 개발
        데이터 모델
            블록체인
            월드 스테이트
                글로벌하게 공유되는 key-value 저장소
        P2P 통신
            네트워크 형태
                hybrid p2p
                    별도의 index 서버 이용
                구조적 오버레이
                    노드별로 역할이 다름
                    슈퍼노드 존재
            기반 기술
                노드간 통신에 gRPC 이용
                데이터 직렬화에 Protocol Buffer 이용
        합의 알고리즘
            PBFT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마스터 노드 과반이 인정해야 합의
                     => 나중에 무효화되는 블록이 없음 (장점)
                모든 노드들 사이의 통신이 필수
                    대규모 노드들의 네트워크에 부적합
                    수십개의 노드가 한계 (단점)

(이상)

Posted by ingee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