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

웹3 세상의 ID체계, DID 짤막 소개

ingeeC 2025. 2. 3. 14:40

DID-Core 스펙을 요약합니다.
DID-Core 스펙은 2022년 표준화 완료되었습니다 (W3C Recommendation 19 July 2022).
DID는 웹3 세계의 기초를 이루는 기반 기술입니다.

 

Web3를 위한 ID, DID

DID는 `Scheme + DID Method + DID Method-specific ID`로 구성된 문자열이다

  • 예시) did:example:123456789abcdefghi

 

DID는 개념이자 인프라다

  • Key-pair의 유통과 검증을 위해 PKI(인프라)가 존재하는 것처럼, DID와 DID document의 유통과 검증을 위해 DID 인프라가 필요하다
  • 어떤 DID가 있으면 이에 대한 DID document를 가져올 수 있다 (DID Resolution)
  • DID document를 어떻게 저장하고 검색해서 가져오는지는 스펙 범위 밖이다 (마음대로 구현해도 좋다)
  • DID document에는 pub-key 같은 증명수단(verification method)들이 담겨있다 
# DID document 샘플
{
"@context": [
  "https://www.w3.org/ns/did/v1",
  "https://w3id.org/security/suites/ed25519-2020/v1"
]
"id": "did:example:123456789abcdefghi",
"authentication": [{
  "id": "did:example:123456789abcdefghi#keys-1",
  "type": "Ed25519VerificationKey2020",
  "controller": "did:example:123456789abcdefghi",
  "publicKeyMultibase": "zH3C2AVvLMv6gmMNam3uVAjZpfkcJCwDwnZn6z3wXmqPV"
}]
}

 

DID method가 DID Resolution 방식을 결정한다

  • DID method에 따라 어떤 종류의 DID는 생성하면 끝이다 (더 이상의 추가 절차가 필요 없다)
  • 어떤 종류의 DID는 생성후 verifiable data registry에 등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 다양한 DID method 목록이 DID Methods 목록 문서에 정리되어 있다 (비트코인 기반의 btcr, 이더리움 기반의 ethr, IPFS 기반의 ipid를 눈여겨볼 만하다)

 

결론
요약하자면, DID는 ID로 document를 조회할 수 있는 ID체계입니다.